결혼 자녀 돌봄에는 더 부정적, 60.6%

출처-pixabay
출처-pixabay

부모가 자녀 결혼비용을 부담하거나 결혼 이후 도움을 주는 것에 대한 인식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와 이진숙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부모의 결혼한 자녀 지원에 대한 태도 변화:2010-2020’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정부가 2010년과 2015, 2020년 실시한 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2010년 조사는 만 15세 이상 4754, 2015년은 만 12세 이상 1912, 2020년에는 만 12세 이상 22173명을 대상으로 했다.

분석 결과, 자녀의 결혼 준비 비용이나 결혼 후 돌봄 책임에 대한 부모의 부정적 태도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부모가 자녀의 결혼 준비(혼수·신혼집 마련) 비용을 책임져야 한다에 비동의하는 비율이 201018.8%에서 201533.6%, 지난해에는 46%로 증가했다. 부모는 자녀 결혼 이후 자녀를 돌볼 책임(경제적 도움, 손주 돌봄)이 있다에 대한 비동의 비율도 같은 기간 22.3%42.5%60.6%로 증가했다.

이 문항들에 대한 답변을 세대별로 보면 청년층의 동의율이 가장 낮았다. 또 교육 수준이 높고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부정적 태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진은 전체적으로 결혼한 성인 자녀 지원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증가 추세이며, 특히 결혼준비 비용 책임보다 결혼 이후 지원에 대해 더욱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평균 결혼비용은 남성이 평균 2억원, 여성은 15000만원 정도로 추산된다. 지난해 평균 초혼연령이 남성 33.23, 여성 30.78세인데, 이 연령대까지 혼자 힘으로는 마련하기 힘든 규모다. 결국 소리가 몇 번이나 날 정도로 높은 결혼비용은 상당 부분 부모가 부담하게 된다. 그래서 자녀 결혼비용을 부모 등골을 휘게 한다고 해서 등골 브레이커라고도 한다.

올해 초 보험개발원은 ‘2020 은퇴시장 리포트를 통해 수도권과 광역시의 40·50대는 은퇴 후에도 자녀 교육비로 평균 6,989만원, 자녀 결혼비용으로 평균 1194만원, 17천만원의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이들이 예상하는 퇴직급여는 평균 9466만원에 불과하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