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의 한의학-박하

조선 고종 때 혜암(惠庵) 황도연(黃度淵) 선생이 지은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삽입된 운문 형태의 약성가(藥性歌)를 중심으로 평소 우리가 먹는 식재료의 한의학적 효능을 살펴본다.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薄荷味辛淸頭目 風痰骨蒸俱可服

박하의 맛은 맵다. 머리와 눈을 맑게 해 주고, 가래에도 사용되며 뼛속 깊이 쑤시는 데도 효과가 있다. (방약합편)

청량감을 주는 대표적인 식물로 박하가 있다. 식당 계산대 옆에 놓인 박하사탕을 까먹은 기억이 한번쯤 있을 것이다.

박하향은 텁텁한 입안을 시원하고 개운하게 해준다. 아이스크림이나 초콜릿, , 음료 등에 많이 들어가는 민트(mint)가 바로 박하다.

박하는 효능이 다양한 약재이기도 하다. 한의학에서 향이 많이 나는 약재는 향과 함께 독소가 날아간다고 해서 피부질환이나 두통 등에 많이 사용된다. 박하는 뾰루지처럼 작은 여드름에 사용되고, 피부를 진정시키고 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또 두통을 가라앉히고 눈을 맑게 해주어 피로를 풀어주기도 한다.

이밖에도 박하는 감기로 인한 가래나 인후통, 그리고 뼈와 관절이 쑤시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위로 향하는 박하의 기운을 활용해 다른 약재의 약기운을 머리나 상체 또는 피부 등에 적용되도록 할 때도 사용된다.

 
 

서정환     한의사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