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문제로 동결 포기하는 경우 많아 국가지원 필요

출처-NHK on line
출처-NHK on line

우리나라에서 젊은 암환자들이 늘고 있다. 중앙암등록본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발생한 15~39세의 암환자는 16800명으로 전체 암환자 23만여명 중 약 7%인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암환자들은 치료에 대한 불안함 못지않게 자녀를 가질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크다. 항암치료 과정에서 난소나 고환의 생식세포 손상으로 불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젊은 암환자들 중에는 치료에 앞서 난자나 정자를 채취해 동결하기도 한다.

일본 NHK는 난자와 정자 동결보존을 희망하는 젊은 암환자 수가 매년 7,000명을 상회한다는 추계가 있다고 3일 보도했다. 이번 추계는 성마리안나 의과대학의 스츠키나오(鈴木直) 교수 등으로 구성된 후생노동성의 연구팀이 수행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경제적 지원이 있는 경우 난자와 정자의 동결보존을 희망하는 남녀는 약 4,400, 수정란의 동결보존을 희망하는 기혼 여성은 2,400명 등으로 총 7,000명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암환자의 가임력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난자정자 동결 보존 등이 있지만, 고액의 비용이 드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스츠키나오 교수는 암 치료가 우선되기 때문에 모든 환자가 동결보존이 가능한 것은 아니라면서 의학적으로 동결 보존이 가능하더라도 경제적인 벽 때문에 포기할 수밖에 없는 환자가 있는 상태다. 장래의 가능성을 믿고 동결보존을 희망하는 환자에게 국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야마구치현 슈난시(山口県周南市)에 사는 이노우에유카코(井上裕香子)(39)4년 전 유방암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항암치료가 필요해 치료 부작용으로 임신을 할 수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는 장래 아이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남겨두고 싶어 난자동결보존을 검토했다. 난자의 동결보존에는 100만엔(한화로 1,086만 여원) 가까운 비용이 든다고 했는데, 당시에는 공적보조가 없었다.

암 치료를 연기할 수도 없고 선택을 해야만 했던 유카코씨는 고민 끝에 난자보존을 단념했다고 한다. 그후 4년이 지났고, 유카코씨의 암 치료는 순조롭게 진행됐지만, 당시의 선택이 올바른 것이었는지 지금도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유카코씨는 NHK와의 인터뷰에서 당시에는 암 진단을 받고, 임신과 일, 거기에 금전문제 등 갑자기 많은 문제에 부딪혀 누구에게 상담할 수 없었다. 죽기 전까지 아이를 낳고 싶다는 생각이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경제적 지원이 확산돼 환자의 부담이 조금이라도 줄어들면 자신과 같은 고민을 가진 환자가 적어지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유카코씨는 생식기능을 보존할까 여부는 환자로서는 중요한 결단인데, 만약 이를 위한 지원금이 있다면 환자의 부담이 일부 해결된다고 생각한다. 환자가 나름대로의 결단을 내릴 수 있도록 선택지가 늘어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젊은 암환자의 난자와 정자 등의 동결보존에 관해 일본 내에서 국가의 일률적인 지원제도는 없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현실이다.

암환자의 난자와 정자 등의 동결보존은 공적보험의 대상이 아닌데, 정자보존의 경우는 5만엔(한화로 54만여원) 정도, 난자와 난소 등의 보존에는 40만엔~100만엔(한화로 약 435만원~1,080여만원) 정도가 들고 있다. 임신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난자 등은 여러 번 동결보존을 할 필요가 있어 실제로는 부담이 더 크다.

이런 상황에서 지자체 중에서는 독자적으로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데, 지난달까지 이런 지원제도가 있는 곳은 전국의 21개 부현(府県)4개시다.

3년 전의 조사에서 약 20%의 환자가 경제적 이유로 동결보존을 단념했다는 결과도 있어 국가의 지원을 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불임치료에 대한 보험적용을 확대하는 목표와 함께 난자와 정자 동결에 대해서도 지원금 제도를 대폭 확충해나갈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