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고소득자는 상대적으로 우울증상 덜해

*pixabay
*pixabay

장시간 일할수록 우울증과 자살충동의 위험이 높아지고, 특히 여성과 저소득 근로자가 더 위험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4, 2016, 2018)의 자료를 이용해 19세 이상 성인 근로자 7082(자영업자 및 무급 가족 근로자 포함)을 대상으로 주당 근로시간과 우울증상 간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 40시간 근로자를 기준으로 주 53~68시간 근로자의 우울증상 위험은 1.69배 높았고, 69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의 우울증상 위험은 2.05, 자살충동의 위험은 1.93배 높았다. 반면, 35시간 근로자는 자살충동의 위험이 0.55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근로시간과 우울증상, 자살충동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경향은 여성과 저소득 근로자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성은 주 35~40시간 근로자와 비교해 주 53시간 이상 근로자가 우울증상의 위험이 1.69배 높은 반면, 남성에서는 장시간 근로가 우울증상의 위험을 뚜렷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또 저소득 근로자의 경우 주 35~40시간 근로와 비교해 주 53시간 이상의 근로가 우울증상 위험을 2.18배 증가시키는 데 반해 고소득 근로자에서는 1.61배 증가시키는 데 그쳤다. 자살충동 역시 저소득 근로자는 주 35~40시간 근로보다 주 53시간 근로가 그 위험을 1.67배 증가시켰지만, 고소득 근로자에서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여성의 가사분담율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근로시간이 늘어나면 원래 맡고 있던 가사와 양육에 대한 부담이 더 커지면서 직장과 가정에서 역할 갈등(work-family conflict)이 발생해 우울증상을 일으켰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고소득자는 높은 소득 자체가 장시간 근로의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하는 완충효과가 있었을 것이고, 경제적 여력이 있기 때문에 가사근로자, 베이티시터 등을 고용해 가사와 양육부담을 줄일 수 있어 저소득자보다 상대적으로 스트레스가 덜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하다.

한규만 교수는 장시간 근로는 직장 내 스트레스로부터 재충전할 시간을 감소시켜 번아웃 증후군, 심한 경우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여성 및 저소득 근로자에서 장시간 근로와 가사 및 육아의 이중 부담을 완화해줄 수 있는 사회적 노력, 그리고 기업과 정부의 관심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기분장애학회(ISAD) 공식 학술지 저널 오브 어펙티브 디스오더스(JAD)’ 온라인판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