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운영 결과 발표
남성 피해자 지원 926명→1843명

출처-pixabay
출처-pixabay

지난 해 몰래 카메라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대부분은 여성이었지만, 남성 피해자도 1년 새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지난 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운영 결과를 4일 발표했다. 6952명의 피해자에게 촬영물 삭제, 상담 등 188천여건의 피해 지원을 진행했다. 전년 대비 피해자 수는 39.8%, 서비스 지원 건수는 10.2% 증가했다.

지난 해 센터에서 지원한 피해자 중 여성은 전년 4047명에서 5109명으로, 남성은 926명에서 1843명으로 늘었다. 여성이 73.5%로 피해자 10명 중 7명 이상이었다. 2020(81.4%)에 비해 줄어들었다.

반면 남성 피해자 수는 1년 새 2배 늘었다. 센터 측은 남성 피해자 수가 늘어난 것은 불법촬영 협박(몸캠 피싱) 피해 신고 건수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피해자는 연령대별로 1021.3%, 2021.0% 10~20대가 42.3%(2942)를 차지했다. 저연령층이 상대적으로 디지털 기기나 온라인 환경에 익숙해서 디지털 성범죄에 더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306.8%, 402.5%, 50대 이상 2.0%였고, 연령을 밝히지 않은 피해자는 46.4%였다.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서 지원한 피해자 현황(자료-여가부)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서 지원한 피해자 현황(자료-여가부)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는 가해자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51.7%(3595)로 가장 많았다. 이는 디지털 성범죄가 주로 가해자-피해자 간 물리적 접촉 없이 온라인을 통해 피해 촬영물을 제작·획득·유포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일시적 관계 28.2%(1963), 모르는 사람 7.9%(548), 친밀한 관계 7.8%(539) 순이었다.

피해 유형은 유포 불안이 25.7%로 가장 많았고, 불법 촬영 21.5%, 유포 20.3%, 유포 협박 18.7%, 사이버 괴롭힘 4.1%, 편집·합성 1.7% 순으로 나타났다. 불법촬영물 유포와 관련된 피해가 전체의 64.7%를 차지했다. 이는 202051.5%보다 늘어난 수치다.

촬영물 삭제 지원은 169820건으로 전년(158760)보다 약 7% 증가했다. 플랫폼별로는 성인사이트가 59113(34.8%)으로 가장 많았고, 소셜미디어 31980(18.8%), 검색엔진 3372(17.9%) 등의 순이었다.

특히 삭제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33437건으로 총 삭제 지원 건수의 19.7%를 차지했다. 지난해 6월 성폭력방지법 개정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피해자 요청 없이도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선제적으로 삭제할 수 있게 됐다.

한편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는 여가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20184월 개소 이후 지난해까지 피해자 12661명에게 494079건의 피해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