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의 한의학-밀(소맥)

조선 고종 때 혜암(惠庵) 황도연(黃度淵) 선생이 지은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삽입된 운문 형태의 약성가(藥性歌)를 중심으로 평소 우리가 먹는 식재료의 한의학적 효능을 살펴본다.

출처-던킨 공식 블로그
출처-던킨 공식 블로그

小麥甘寒除煩熱 止渴利水養肝血

밀은 맛은 달고 성질이 차다. 번열과 갈증을 멎게 하고 이뇨작용을 하며 간혈을 보한다(방약합편)

한국인들이 밥 대신 빵을 많이 먹으면서 쌀 소비량이 줄고 밀 소비량이 늘고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 KB자영업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 1인당 하루 빵 소비량은 지난 201218.2에서 201821.3으로 늘었다. 1100g인 소보루빵을 1년에 77개 정도 먹는 셈이다.

이제 한국인은 밥심이 아닌 빵심, 밀심으로 산다고 해야 할 정도다.

밀은 가을에 파종해 여름에 익기 때문에 사계절의 기운을 받아 자연히 찬 기운과 따뜻한 기운을 모두 갖고 있다.

<방약합편>에는 밀의 성질은 서늘한 반면, 밀가루의 성질은 뜨겁다고 되어 있으며 <동의보감>에도 껍질의 성질은 차갑고 밀가루의 성질은 뜨겁다고 되어 있다.

번열(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나는 증상)과 갈증을 멎게 하는 등 약으로 사용하는 밀의 성질은 찬 성질이기 때문에 약으로 사용할 때는 통밀을 사용한다.

pixabay
pixabay

최근 항간에 지나친 밀가루 음식의 섭취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자주 들리고 그로 인한 부작용의 대안으로 통밀로 된 음식의 섭취를 권장하기도 한다. 한의학적으로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밀가루는 그 성질이 더운 반면 통밀은 찬 기운과 따뜻한 기운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동의보감>에 의하면 식용으로 사용하는 밀가루가 기력을 보해주고 오장을 도와주며 오래 먹으면 사람들 튼튼하게 한다고 되어 있으므로 밀가루 음식에 대한 주의는 밀가루 위주의 음식 섭취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

한편, 밀의 종자 중에서 가벼워서 물에 뜨는 것을 부소맥(浮小麥)이라고 하는데 열을 내리고 도한(盜汗: 몸이 허약하여 땀이 나는 증상)에 사용된다.

 

 

서정환    한의사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