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의 한의학-굴 껍질(모려)

조선 고종 때 혜암(惠庵) 황도연(黃度淵) 선생이 지은 방약합편(方藥合編)’에 삽입된 운문 형태의 약성가(藥性歌)를 중심으로 평소 우리가 먹는 식재료의 한의학적 효능을 살펴본다.

출처-pixabay
출처-pixabay

牡蠣微寒主澀精 痰汗崩帶脅痛平

굴 껍질의 성질은 약간 차다. 정액이 새는 것을 치료하고 도한을 멎게 하며 여성의 대하를 치료하고 옆구리 통증을 가라앉힌다. (방약합편)

우리는 보통 석화(石花)라고 하는 굴의 살 부위를 먹지만, 굴의 껍질은 약재로 쓰인다.

굴 껍질을 약재로 사용할 때는 소금물에 하루를 달인 후 불에 달구어 가루내어 쓴다. 귤 껍질은 남성의 정액이 새는 것과 여성의 자궁출혈에 효능이 있고, 잘 때 땀을 흘리는 도한증상도 치료한다.

우리 몸은 음기와 양기가 상호 조화를 이뤄야 하는데, 앞의 증상들은 모두 소위 음기가 부족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흔히 허화(虛火)가 떴다라고 한다. 따라서 굴 껍질은 허화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굴 껍질은 또 불안하고 자주 놀라며 꿈을 자주 꾸는 등의 심신불안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이는 굴 껍질에 풍부한 칼슘과 관련이 있다. 칼슘은 흥분된 정신을 가라앉히는 항스트레스성 무기성분으로 천연진정제라고 할 수 있는데, 그래서 이 성분이 풍부한 굴 껍질 또한 정신 안정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방약합편>에 따르면 굴의 살은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안색을 좋게 한다고 되어 있다.

 

서정환      한의사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