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미세먼지, 폐 깊숙이 남고 다른 장기로 퍼져

초미세먼지와 나노미세먼지의 생체내 이동경로 모식도(자료-KBSI 제공)
초미세먼지와 나노미세먼지의 생체내 이동경로 모식도(자료-KBSI 제공)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의 4분의 1 크기로 미세먼지보다 유해성이 더 크다. 그런 초미세먼지보다 인체에 더 유해한 것이 나노미세먼지인데, 입자 크기가 100(0.1) 이하로 미세먼지의 100분의 1 크기다. 주로 차량연료가 연소할 때 배출된다.

미세먼지의 입자가 작을수록 인체에 더 깊숙이 침투해 위험하다는 것은 알려져 있는데, 나노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보다도 더 빨리, 더 깊이 몸 속으로 들어가 더 오래 머문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물며 인체에 영향을 미치며 혈관을 타고 다른 장기로 빠르게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먼지와 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실험쥐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간 장기별 이동경로와 세포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관찰했다.

그 결과 나노미세먼지는 폐세포 깊숙이 침투해 최소 이틀 안에 혈관을 따라 간, 신장 등 다른 장기로 이동했다. 반면 초미세입자는 다른 장기로의 이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 폐 기관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에는 나노미세입자가 4주 후까지도 남아 있었으며 그 양은 초미세입자의 8배나 됐다.

KBSI 박혜선 박사는 이번 연구는 나노미세먼지가 우리 인체기관에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라며 향후 다양한 특성을 갖는 모델물질을 만들어 생체분포패턴 정보를 구축한다면 지역이나 환경특성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나노바이오테크놀러지’(Journal of Nanobiotechnology)온라인판에 지난 12일 실렸다.

 

 

저작권자 © 웨딩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